李御寧에세이集 - 「말」
레오나드로 다 빈치의 걸작 '最後의 만찬'에는 식탁에 올려놓은 예수의 두 손이 그려져 있다.
한 손은 주먹을 쥐고 있고 또 한 손은 손바닥을 펴 보이고 있다.
아이들이 장난하는 가위 바위 보로 치자면 예수는 유다를 향해 주먹과 보자기를 동시에 내민 셈이다.
주먹은 바위와 같다.
손가락은 성문의 빗장처럼 굳게 안으로 잠겨져 있어, 이미 외부의 아무것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그러기에 주먹은 거부이며 도전이며 징벌의 의지를 나타낸다.
우리는 거기에서 응고해 버린 분노를 볼 뿐이다.
그러나 유다의 背信에 대해서 예수는 오직 주먹만을 쥐었던 것은 아니다.
그와는 반대로 한 손은 부드럽게 열려 있다.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키우는 5월의 大地처럼 그 손은 펼쳐져 있다.
텅 빈 하늘이거나 경계선이 없는 바다이다.
눈물을 받아들이고 아픔을 받아들이고..... 증오나 악까지도 그 손바닥 위에서는 용해되어 버린다.
빈 뜨락과도 같은 손바닥에서, 우리는 너그러운 사랑을 본다.
예수는 두 주먹을 쥐지도 않았고 두 손을 모두 펴지도 않았다.
주먹과 보자기...... 그러기에 그는 生의 가위 바위 보에서 이길 수가 있었다.
주먹의 言語와 보자기의 言語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詩人은 예수님처럼 슬프고도 행복하다.
그리고 비로소 우리는 그 끔찍한 가위를 이길 수가 있다.
모든 것을 분활하고 토막내고 갈가리 찢어버리는 가위의 言語를 막을 수 있다.
단지 방어하는 것만이 아니라, 우주와도 같은 보자기의 품 안에, 자신이 내민 주먹까지도 감싸 버린다.
詩人이여.
주먹을 쥐어라.
분노의 주먹을 쥐어라.
주먹처럼 단단한 言語로써 詩人들은 벽을 무너뜨려야 한다.
그 의지로, 그 분노로 유다의 악을 징벌해야 한다.
그러나 잊지 말아야지.
마치 어린것들의 머리를 쓰다듬듯이 페허에 새 종자를 뿌리듯이 한 손일랑 부드럽게 펴야만 한다.
넓고 텅 빈 손바닥의 그 言語가 있을 때만이 딱딱한 주먹의 言語는 폭력의 벼랑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詩人의 마지막 구제도 그러하리라.
주먹과 보자기를 내미는 가위 바위 보.
그렇게 해서 운명의 놀이에서 이길 수가 있다. (p149)
李御寧에세이集 - 말
文學世界社 - 1982. 11. 15.
'명상의글(종교.묵상.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 적멸보궁 봉정암-7차 백일기도 동참에 감사드리며(한 방울의 물이 바위를 뚫고) (0) | 2022.05.31 |
---|---|
설악산 적멸보궁 봉정암-길에서 길을 묻다/보왕삼매경론(寶王三昧經論) (0) | 2022.05.26 |
탈무드 - 사람은 돈을 시간보다도 소중히 여긴다. (0) | 2022.04.22 |
정토불교대학 실천적불교사상 4강-“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핵심 내용이 무엇일까요?” (0) | 2022.04.13 |
신지우-재미있는 선 이야기. 100/제 5 화 마음을 갖고 오라 (將心來) (0) | 2022.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