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환 - 숭산 행원선사 법어집/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이미지 다음에서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이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또 하나 경계가 나타났어.
산이 물이 되고 물이 산이 되는 경계,
산도 공空했고 물도 공했다는 경계,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라는 경계,
그 한 계단을 넘어가면 할 소리로 모든 것을 씻어내고
내 마음을 텅 비게 한다면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라는 그러한 경계가 나온다.
그것을 수용受用의 경계라 한다.
받을 수受자, 쓸 용用자, 실체와 실상과 실용을 체상용體相用 이라고 합니다.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는 세계는 변하는 무상의 세계이기 때문에 망각의 세계.
망각의 세계를 지나게 되면 진공眞空의 세계가 나온다.
진공眞空의 세계를 실체라 해요.
실체의 세계를 지날 것 같으면 보고 듣고 하는 실상의 세계가 나오고,
그 진리의 세계를 내가 어떻게 수용해서 올바른 생활을 하느냐.
올바른 인생과 올바른 길을 찾고 올바른 생활을 하느냐.
이런 것을 수용의 세계라 합니다.
이것을 체상용體相用.
그것을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라는 세계가 수용의 세계이다.
산도 공했고 물도 공했다라는 것은 공의 세계.
《반야심경》과 같이 공의 세계.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라는 것은 실상의 세계.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라는 것은 수용의 세계라고 보겠습니다.
지금 불교는 차차로 세계 종교로 되어가고
세계 사람이 불교를 배우기 위해서 한국으로 몰려오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한국불교를 말할 것 같으면 보리달마로부터
불립문자 不立文字 직지인심直指人心이라는 마음을 깨치는 법을 가르쳐 주는
선법을 배우러 세계각국 사람이 배우기 위해서 말로 하는 것은 얼마든지 잘해요.
서양사람들은 팔만대장경을 몇 년을 배워야 돼.
강단에 가도 4, 5년은 배워야 하는데 팔만대장경이 책자로 나와.
서양 사람들을 위한 팔만대장경은 하루 정도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문이 얼마나 어렵습니까.
고산스님은 한국에서 유명하신 강백스님.
평생을 강의하는데 어려운 한문을 배워서 한국말로 알게 되면 어려운데
영어, 독일어나 불란서말로 된 것은 한문이 없어요.
우리는 한 강단에 가서 4, 5년 배울 것인데 그 사람들은 일 주일이면 팔만대장경을 다 읽어요.
머릿속에 다 들어간다고.
그 사람들이 배우고 나서 무엇을 하느냐면 참선을 한다.
가는 길을 알았으니까 내 마음을 한번 찾아봐야겠다 해서 참선을 한다.
그런 사람들이 불교에 많이 귀의하고 있다.
그래서 소승불교도 있고 대승불교도 있지만 한국불교가 미국에 가서
아까 총무스님께서 말씀하신 것은 한국불교 배우는 절이 36개라고 하는데
그것은 옛날에 나오는 책이고 한국 선이 세계각국에 얼마나 퍼져 있느냐 하면 110개의 절이 있습니다.
그 속에서 한국불교를 배우고 있다.
몇 년 간에 한국불교가 부쩍 늘어난 것은 내가 훌륭해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한국불교는 통불교야.
교나 율이나 염불이나 진언이나
또 선이나 전체가 하나가 되어서 내가 마음을 깨달아서 성불을 하자는 데 목표가 세워져 있다.
《반야심경》을 하나 무엇을 하나 염불을 하나 목적이 뚜렷해.
다 하나야.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는데 어디로 돌아가느냐.
그러한 공부를 하고 있는 것이 한국불교이기 때문에 ‘통불교’라고 해요.
그러나 일본불교가 세계를 판치고 있는 일본불교는 선하면 선, 염불하는 건 염불,
남묘호남교면 남묘호남교 남묘호남교를 하는 사람은 선은 천마요, 염불은 지옥이요. 이렇게 평한다.
다른 파는 쳐버린다.
한국불교는 그러는 법이 없어.
설사 기독교라도 기독교 옳다 이거야.
그러나 하나님을 믿는 그것이 누구냐.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로다.
그럼 ‘나’는 누구야.
모른다.
나는 길이요,
그럼 길은 무엇이냐.
모른다.
또 진리가 뭐냐.
진리라는 말은 알지만 진리가 뭐냐 하면 모른다.
나는 길이요 하는 것은 대도를 말한다.
본체를 얘기하는 거야.
실상을 얘기하는 거야.
진리는 뭐냐.
실상을 얘기하는 것이다.
하늘은 푸르고 물은 흘러가는 것이다.
또 올바른 생활은 무엇이냐 이거야.
배고픈 사람한테 밥을 주고, 목마른 사람한테 물을 주고, 이것이 올바른 생활이야.
어려울 것이 없다.
종교의 궁극의 목적은 말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말속에 들어있는 커다란 뜻에 있다.
그것을 내 것으로 만들 적에 기독교나 불교나 모든 것이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고
그렇기 때문에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고 하나는 어디로 돌아가느냐 하는 것을 알게 된다.
그것이 불교의 특징입니다.
만법이 유일하니 일귀하처이니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는데 하나가 어디로 돌아가느냐.
이것을 알았을 때 만법을 알게 될 것이며 하나를 알게 될 것이며,
하나를 알았을 때 만법도 알게 될 것이다.
그래서 게송을 하나 읊으고 법문을 해나갑시다.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는데
하나는 어디로 돌아가는고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닌데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라는 소식을 알아야 돌아가는 것을 알 것이며
하나를 알았을 때에 만법이 내것이 된다.
만법이 어디로 돌아가느냐.
하나는 또 어디로 돌아가느냐.
하나 돌아간 그 하나는 마음도 아니요, 부처도 아닌데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p255)
※ 이 글은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에 실린 일부 단락을 필사한 것임.
(숭산 행원선사 법어집)
최석환 - 산은 푸르고 물은 흘러간다.
불교영상회보사 - 2001.8.20.
'명상의글(종교.묵상.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 잎의 지혜 (0) | 2007.06.10 |
---|---|
미소 스님 칼럼 - 행복하게 미소 짓는 법 (0) | 2007.05.19 |
여보게 저승 갈 때 뭘 가지고 가지 - 윤회의 노래 (0) | 2007.05.15 |
만남 (0) | 2007.05.04 |
참으로 사람답게 살기위하여 (0) | 2007.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