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알일보 - 「2022. 03. 04. 2면」
‘한·중·일 바둑 삼국지’ 농심신라면배에서 지난달 26일 한국이 우승했다. 극적인 역전 우승이었다.
최종 주자인 신진서(22) 9단이 중국과 일본의 최정예 기사 4명을 차례로 물리치고 통렬한 역전 드라마를 완성했다.
그를 2일 서울 홍익동 한국기원에서 만났다.
- 키가 크다.
“180㎝ 정도 된다. 몸무게는 65∼69㎏인데, 2월 큰 대국을 여러 번 치르면서 3~4㎏ 빠졌다.” (신 9단은 대국 중간에 바나나를 자주 먹는다. 바나나 먹는 장면이 중계에 여러 번 잡혀 바둑 팬은 ‘승리의 바나나’라고 부른다. 막상 본인은 “살려고 먹는다”고 비장하게 답했다.)
현재 신 9단은 세계 최강이다. 비공식 순위지만 바둑 통계 사이트 ‘고레이팅(Go Ratings)’에서 2019년 1월부터 1위를 지키고 있다. 올해 성적은 18승3패, 승률 85.71%(3일 현재)다. 지난해 6월 8일 이후 외국 기사에게 진 적이 없다. 28번을 내리 이겼는데, 그중 중국 기사에게 23번 이겼다. 돈도 많이 벌었다. 2020, 2021년 연속으로 상금 10억원이 넘었다.
신 9단은 2000년 3월 17일 부산에서 태어났다. 부모가 부산에서 바둑학원을 했다. 네 살 때부터 바둑을 뒀다. 초등학교 4학년 때는 전국 어린이 바둑대회 4관왕에 올랐다. 가족은 2012년 2월 서울로 이사했다. 그해 7월 영재바둑대회를 통해 입단했다. 신진서는 2000년생 첫 프로기사다.
- 초등학교 시절, 밤마다 인터넷 바둑을 두는데 ‘지면 이길 때까지 둔다’고 했다.
“지는 게 싫었다. 열 판 넘게 두고 잔 적도 많다. 요즘은 그렇게 안 한다. 우선 옛날처럼 인터넷 바둑을 자주 두지 않는다. 그리고 요즘은 거의 지지 않는다(신 9단은 가공할 승부사다. 지난달 중국 양딩신 9단과 LG배 결승 1국에선 승률이 1.5%까지 떨어졌던 바둑을 뒤집었다). 패배가 쌓이면 무뎌지는 게 아니라 무력감이 커진다.”
- 천재형인가, 노력형인가.
“재능은 있었던 것 같다. 이건 확실히 말할 수 있다. 나보다 더 노력한 기사는 있을지 몰라도 나보다 더 힘들게 공부한 기사는 없을 거다. 부산에 살 때 대회에 나가려면 서울을 왔다 가야 했다. 정말 힘들었다. 재미가 없었으면 그렇게 못했을 거다.”
- 선배 기사들에게 배운 게 있다면.
“이창호 9단에겐 부동심을 배웠고, 이세돌 9단에겐 카리스마를 배웠다.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건 박정환 9단이다. 바둑도 배웠지만, 바둑을 대하는 자세를 배웠다. 그는 바둑에 늘 진심이다.”
신 9단의 최대 라이벌은 커제 9단이다. 중국 1위인 데다 상대 전적도 7승11패로 커제가 앞선다.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도 신 9단이 뒤진다. 신 9단 3회, 커제 8회다. 10년 전 프로기사가 됐을 때 그의 목표는 세계대회 우승이었다. 현재 목표를 물었더니 “세계대회에서 커제보다 더 많이 우승하고 싶다”고 했다.
- 지난달 25일 농심신라면배 커제와의 대국이 큰 화제가 됐다. 한·중 최강자 대결이었는데 일방적으로 끝났다.
“커제의 초반 포석을 공부했는데, 그대로 진행돼 쉽게 이길 수 있었다.”(놀라운 답변이다. 커제가 흑이었기 때문이다. 초반 진행은 흑이 주도한다. 초반 36수가 진행될 때까지 신 9단은 불과 33초만 사용했다.)
- 대국이 끝난 뒤 커제 발언이 논란이 됐다.
“커제가 틀린 얘기를 했다. 내가 화장실을 자주 갔다고 했는데, 그렇지 않았다. 커제가 말한 내 인공지능(AI) 일치율도 맞지 않는다. 그날 내 바둑의 인공지능 일치율은 65.8%였다. 그런데 커제는 71%라고 했다. 이 차이는 크다. 일치율 65%는 내가 다섯 판 두면 한 판 정도 나오는 수치고, 70% 이상은 100판을 둬야 한두 판 나올까 하는 수치다. 커제는 내가 부정행위를 한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그날은 내가 잘 두기도 했지만, 커제가 못 뒀다.”
- 커제랑 끝장 승부를 내는 건 어떨까. 이세돌도 구리와 10번기를 했다.
“마다할 이유가 없다. 올해 안에 커제와 10번기가 마련된다면 무조건 하겠다. 딴말 안 나오게 하려면 대면 대국이어야 한다.”
- 인공지능으로 어떻게 바둑을 공부하나.
“인공지능과는 자주 대국하지 않는다. 대신 인공지능 추천 수를 계속 둬 본다. 왜 이 수를 추천하는지 이유를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 인공지능 출현 뒤 바둑이 삭막해졌다는 평도 있다. 인간 바둑엔 기풍이 있는데, 인공지능 바둑엔 정답만 있다.
“내 생각은 다르다. 인공지능에도 기풍이 있다. 가령 인공지능 승률 50%의 수가 있다고 하자. 옆에 49.9%의 수가 있고,또 옆에 50.1%의 수가 있다. 어디를 두든 승률에는 별 차이가 없다. 그러나 바둑은 전혀 다르게 바뀐다. 이 차이가 기풍의 차이라고 이해한다.”
오는 9월 항저우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에 바둑이 들어 있다. 남녀 단체전과 남자 개인전 세 종목이다. 신 9단 출전은 사실상 확정됐다. 금메달을 따면 병역 혜택을 받을 수 있겠다고 했더니 그가 정색하며 말했다. “병역 혜택보다 중요한 게 있습니다. 아시안게임을 통해 바둑을 알리는 겁니다.” 바둑을 업으로 알고 사는 장인의 책임감이 느껴졌다.
]
손민호 기자 ploveson@joongang.co.kr
중앙일보 - 2022. 03. 04.
'일상 정보 > 사람들(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김황식 전총리 특별인터뷰/자유의 가치 실현하려면 협치가 필수 (0) | 2022.05.11 |
---|---|
서울에서 하버드까지 - 나의 길 (0) | 2022.03.22 |
세계일보-딸 10주기 기일 앞두고 떠난 이어령… "하늘에선 오해 풀길" (0) | 2022.02.27 |
이어령 선생을 그리며 (0) | 2022.02.26 |
땅과 사람들 - 시작은 세상에서 가장 긴 신혼 여행 (0) | 2022.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