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삶의 일상에서 쉼의 여유와 흔적을 찾아서
작가책방(소설/ㄱ - ㄴ

공자의 주입식이 아닌 계발교육론-도올의 교육입국론(증보신판)/김용옥

by 탄천사랑 2018. 6. 23.

 

 

 

도올의 교육입국론(증보신판) - 김용옥 / 통나무 2017. 12. 04.

논어 술이(述而) 편의 어구 
不憤不啓  不悱不發  擧一隅 不以三隅反  則不復也
불분불계  불비불발  거일우불이삼우반  즉불복야에서 계발(啓發)의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공자는 말한다: 

"나는 분발치 아니 하는 학생을 계도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나는 궁금증이 쌓여 고민하는 학생이 아니면 촉발시켜 주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한 꼭지를 들어 말해주어 세 꼭지로써 반추할 줄 모르면 더 반복치 않고 기다릴 뿐. 
 不憤不啓, 不悱不發, 擧一隅 不以三隅反, 則不復也" 

이것은 공자 교학방법의 전모를 말해주는 명언이다.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계발(啓發)'이라는 말이 바로 이 공자의 말씀에서 유래된 것이다. 
공자는 주입식의 교육을 강요한 적이 없고 철저히 계발식의 교육을 주장했다. 
공자는 학생의 자학능력(自學能力)과 독립사고, 그리고 학생의 주동성(主動性)적 깨달음의 과정을 강조했다. 
그 과정의 초기단계가 '계(啓)'이고 진전된 단계가 '발(發)'이다. 
'거일반삼(擧一反三)'이라고 하는 것은 학생이 주동적으로 깨달음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교육이란 사문화된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깨달음의 촉발의 계기를 확대해나가는 것이다.


※ 이 글은 <도올의 교육입국론>에 실린 일부 단락을 필사한 것임.

[t-18.06.23.  20210606_15114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