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철학 51강 - 허우슈선/황소자리 2006. 12. 13.
생각과 행동의 철학
성공에는 두 가지 조건이 반드시 필요하다.
사유하는 능력과 행동하는 능력이다.
이 두 가지는 상호보완적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도 없어서는 안 된다.
인간의 정신은 토양과도 같다.
계획을 세우고 부지런히 땅을 갈면 어떤 땅이든 풍부한 수확을 올리는 좋은 밭으로 개간할 수 있다.
그러나 황무지를 그대로 내버려 두면 잡초만 무성할 뿐이다.
자신의 '마음밭'에서 풍요로운 수확을 올리고 싶다면 반드시 정확한 사고력과 적극적인 행동력을 갖추어라
- 토머스 존 왓슨 (Thomas John Watson)
모든 계획과 목표는 생각에서 나온다.
그리고 당신의 생각을 장악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당신뿐이다.
지혜로운 방식이든 어리석은 방식이든 당신이 원하는 대로 사고할 수 있다.
단,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크게 달라질 것이며,
이 결과에 책임을 져야 하는 것도 바로 당신이다.
- 프레드릭 랭이 브리지 (Frederick Langbridge)
이 세상의 모든 성공은 치밀한 사고,
완벽한 계획,
시기적절한 행동력,
그리고 여러 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끝까지 굽히지 않는 불굴의 정신으로 만들어졌다.
- 칼뱅 모니크 (Calvin Monigue)
위대한 삶을 이루고,
어제의 이상을 오늘의 현실로 만드는 일은 바람과 기도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반드시 이에 걸맞은 적극적인 행동이 뒤따라야 한다.
행동이 없으면, 이상을 실현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아름다운 미래를 꿈꾸는 사람들이여,
애써 땀흘리고 내일의 수확을 위한 씨를 뿌려라.
이 세상에 공짜는 없다.
- 스티븐 라테 (Steven Latte)
취사선택의 철학
인생에는 수많은 선택이 존재한다.
무언가를 선택한다는 것은 동시에 무언가를 버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맹자는 '생선과 곰발바닥을 모두 가질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
생선을 선택하려면 곰발바닥을 버려야 하고, 곰발바닥을 선택하려면 생선을 버려야 한다.
두 가지 모두 가지려 하는 사람은 결국 아무것도 갖지 못한다.
- 프란시스 로저스 (Francis Rogers)
버릴 줄 아는 사람만이 무언가를 얻을 수 있다.
버린다는 것은 대가를 지불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늘 원하는 만큼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누군가에게 존중받고 싶다면, 먼저 사랑을 베풀어라.
하느님은 당신이 대가를 지불하기를 기다리고 계신다.
- 앤서니 홉킨스 (Anthony Hopkins)
모든 선택에 보답이 뒤따르지는 않는다.
무엇을 선택했느냐가 중요하다.
만약 선행을 택했다면, 부와 행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악행을 택했다면, 진실한 삶의 의미를 잃게 한다.
그리고 세상의 모든 것을 원한다면, 절대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 로버트 스티븐슨 (Robert Stephenson)
자신의 선택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
자신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고 노력한다면 행복과 자유를 얻을 수 있다.
자신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한다면 진정한 자아를 발견할 수 있다.
- 존 윌리엄스 (John Williams)
사랑과 증오의 철학
우리는 모두 사랑을 받으며 이 세상에 태어났다.
특히 어머니와 아버지에게 받은 사랑은 한없이 크고도 넓다.
그리고 첫사랑에 빠지는 순간, 비로소 우리 마음에도 사랑이 피어난다.
사랑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사랑이란 대가를 바라지 않는 일종의 선행이며, 세심한 배려이고, 영원한 근심거리이기도 하다.
사랑은 아주 작은 것에서 시작되지만 하늘과 신을 감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니 타인의 말에 귀기울이고, 마음으로 느끼고, 늘 기억하라.
- 애니 센터벡 (Annie Centerbeg)
모든 사랑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자신을 사랑하는 일이다.
자신의 육체와 정신세계는 물론 자신과 관련된 모든 것을 사랑해야 한다.
사랑의 기억은 돌에 새기듯 마음속에 영원히 간직하고,
미움의 기억은 모래가 바람에 날려가듯 깨끗이 잊어버려라.
자신의 삶에 열정을 가지고 타인을 진심으로 배려한다면,
우리 사회는 따뜻하고 사랑이 넘치는 세상이 되고 우리 모두가 행복해질 것이다.
- 애니타 로딕 (Anita Roddick)
사랑은 원수를 친구로 만들고 미움과 원한을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사랑은 당신을 즐겁게 해 주고 열정적으로 만들어준다.
누군가 당신의 도움을 필요로 할 때 주저하지 말고 손을 내밀어라.
비록 당신의 손이 보잘것없이 작더라도 이 세상을 사랑으로 채울 수 있다.
- 애나 혼 (Anna Horn)
미추의 철학
아름다움을 즐길 줄 모르는 사람은 고상한 인품을 가질 수 없다.
우리 주변과 일상은 온갖 아름다운 것들로 가득하지만,
이것을 발견하고 즐길 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 데이비드 스토트 (David Stott)
아름다움은 우리 정신을 맑고 깨끗하게 해 준다.
또한 우리가 에너지를 충전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해 준다.
아름다움은 이렇게 우리의 신체와 정신건강에 큰 도움을 준다.
아름다움을 추구하기에 우리는 밝고 빛나는, 생기 가득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
- 마이클 포터 (Michael Porter)
이 세상의 모든 사물에는 미추의 구분이 있으며, 물론 인간도 예외는 아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미추란 외모가 아니라 인간의 영혼을 가리킨다.
마음속으로 어떤 생각을 떠올릴 때마다 우리 얼굴에는 미묘하지만 분명하게 그에 대한 반응이 나타난다.
따라서 어떤 생각을 하느냐에 따라 외적인 미추가 결정되기도 한다.
이 세상에 상냥하고 고상한 성품처럼 아름다운 것은 없다.
아름다운 성품은 어떤 평범한 얼굴이라도 아름다운 광채로 빛나게 만들 수 있다.
- 레스터 소로 (Lester Thorow)
개인과 사회의 철학
나무가 아무리 크더라도 한 그루만으로 온 천지를 뒤덮을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인간도 혼자서는 살 수 없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이 세상을 살아가려면 반드시 타인과 교류해야 한다.
우리는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사회속에서 서로 인정받고 인정해주어야 한다.
- 윌리엄 번버크 (William Bernbach)
세상의 모든 성공한 사람의 뒤에는 반드시 또 다른 공로자가 있다.
혼자 힘으로 정상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사람은 이 세상에 없다.
더 큰 발전을 꿈꾼다면 배움의 뿌리를 더 넓게 뻗어라.
수많은 성공한 사람들의 다양한 경험을 배우고 성취욕이 넘치는 단체의 일원이 된다면,
더 크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마리 골드윈 (Marie Goldwyn)
황량한 들판에서 홀로 자라난 수려한 나뭇가지보다는
온갖 화초가 가득한 화원에서 자라는 귀한 모란나무가 되어라.
당신의 열정을 다른 사람과 함께 공유한다면, 모두의 힘을 하나로 모아 성과물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그 성과는 매우 특별한 기적을 만들어낼 것이다.
- 프레드 쉐더 (Fred Shweder)
고통과 쾌락의 철학
우리는 모두 즐겁게 살고 싶어 한다.
즐거움과 쾌락은 일종의 마음가짐 혹은 느낌으로 모든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착하고 순수한 마음으로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아끼고 사랑하라.
그리고 열정적으로 삶과 자연을 사랑하라.
대가를 치르고 노력하여 얻은 즐거움만이 진정한 쾌락이라 할 수 있다.
- 크리스 아킬레스 (Chris Achilles)
최고의 쾌락은 자유다.
우리는 일평생 수많은 구속과 억압에 맞서 끊임없이 투쟁한다.
즉, 우리의 삶은 자유를 추구하는 과정에 다름 아니다.
인류의 모든 노력과 발명은 인간을 최대한 자유롭게 만들려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만약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즐겁게 해주고 싶다면, 그를 자유롭게 해 주어라.
- 앤드루 클로스비 (Andrew Closby)
쾌락은 생각에서 비롯된다.
생각이 즐겁지 않으면 결코 즐거울 수 없다.
쾌락은 일종의 정서이다.
부정적인 정서를 조절하여 없애면 즐거움만 남는다.
쾌락은 일상 속에 존재하지만,
삶의 과정 자체를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사람만이 쾌락의 진정한 의미를 알 수 있다.
쾌락은 자기 안에 존재한다.
내가 즐거우면 세상이 즐겁고, 세상이 즐거우며 내가 즐거워진다.
쾌락은 고통에서 만들어진다.
쓴맛을 알아야 단맛을 알 수 있듯이, 고통을 이겨내야 비로소 진정한 쾌락의 의미를 알 수 있다.
- 스티븐 골드윈 (Steven Goldwyn)
강자와 약자의 철학
정신적으로 강한 사람이야말로 진정한 강자이다.
온갖 고난과 시련을 다 겪고도 삶에 대한 열정과 자신감이 넘쳐흐르고
강한 투지를 불태우며 미래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
이것이 바로 진정한 강자의 모습이다.
- 세실 파킨슨 (Cecil Parkinson)
강한 신념과 불굴의 투지는 강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인생이라는 악보를 힘차게 연주하기 위해서는 신념이 필요하고,
청춘의 불꽃을 활활 타오르게 하려면 투지를 발휘해야 한다.
신념이란 자신을 믿고 승리를 확신하는 것이다.
자신이 선택한 목표가 옳다고 믿고 스스로 그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믿어라.
그리고 영원히 변치 않는 불굴의 투지를 발휘한다면 모든 시련과 좌절을 이겨낼 수 있다.
- 루이스 케로나베로그 (Louis Keronaberg)
누구나 강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강자가 되려면 먼저 자신의 장점과 약점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그런 다음 장점은 키우고 약점을 최소화해야 한다.
그러나 약점도 잘 이용하면 때로 장점이 되고 장점이 약점이 되기도 하니,
이 두 가지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약점이 없으면 장점도 있을 수 없다.
강한 것이 곧 약한 것이라는 말도 있듯이, 중요한 것은 그것들을 대하는 태도이다.
자신의 장점과 약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히 이용할 줄 알아야 한다.
장점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면 오히려 약점이 되고,
약점도 제대로 이용하면 장점이 되는 우리 인생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 월터 스위프트 (Walter Swift)
빈부의 철학
빈부는 두 가지 측면에서 구분할 수 있다.
즉, 물질적인 가난과 정신적인 가난,
그리고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정신적인 풍요로움이다.
- 프레드릭 셀러스 (Frederick Sellers)
가난은 일시적인 물질 부족 현상일 뿐이지만 정신이 가난하면 일평생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마음속의 어두운 그림자를 걷어내고 아름다운 희망을 키우면 당신의 인생도 변할 수 있다.
희망을 잃지만 않는다면 비록 가난하더라도 절대 초라하지 않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성공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가난할 때에도 희망을 씨앗을 심을 줄 안다.
- 엠브로스 브레히트 (Ambrose Brecht)
시인 헨리는 '내 운명의 주인은 나다. 나는 내 영혼을 지배한다.'고 말했다.
그렇다.
내 마음을 지배할 수 있는 내 운명의 주인은 바로 나다.
어떤 마음을 갖느냐에 따라 미래의 모습이 달라진다.
우리가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대로 인생은 만들어진다.
가난한 생각을 하면 가난한 현실이 펼쳐질 것이고,
여유롭고 넉넉한 생각을 하면 우리 인생도 여유롭고 넉넉해진다.
모든 것은 자신의 선택에 달려 있다.
- 조이스 버틀러 (Joyce Butler)
지혜와 용기의 철학
지혜와 용기를 겸비해야 성공할 수 있다.
지혜는 용기의 기본이자 전제조건이다.
지혜롭지 않은 용기는 무모함이나 다름 없다.
한편, 용기는 지혜를 표현하는 수단이다.
용기가 없으면 지혜를 밖으로 표현할 수 없으니 지혜는 결국 무용지물이 되고,
우리의 지혜는 서서히 메말라버릴 것이다.
- 베르토 빌즈 (Berthod Beals)
지혜를 표현하는 것을 기지라 한다.
기지는 위기를 기회로 만든다.
순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할 뿐더러 상황을 반전시켜 승리를 거둘 수 있게 해 준다.
기지는 평범한 재능의 빈자리를 메워주는 성공의 도우미이다.
잔꾀와 기지는 분명히 다르다.
지혜로운 사람은 때로 바보스럽게 보이기도 하지만 절대 잔꾀를 부리지 않는다.
정말 지혜로운 사람은 때로는 총명하게 때로는 바보스럽게 세상과 조화를 이룰 줄 아는 사람이다.
- 헤럴드 에머슨 (Herald Everson)
용기가 있어야 지혜를 성공으로 만들 수 있다.
용기가 있어야 성공의 문을 열 수 있다.
과감히 지혜를 발휘하고 이용하고 표현하는 것 외에도
용감하게 자신과 삶을 직시하고 시련과 좌절에 맞서싸워야 한다.
자신감 있고,
언제나 뒤로 물러서지 않고,
용감한 도전정신을 보여주는 사람만이 진정 성공한 사람이 될 수 있다.
지혜와 용기를 겸비한 사람이야말로 진짜 성공한 사람이다.
- 마리 겔브레이스 (Marie Galdraith)
성공과 실패의 철학
목표를 향해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가장 갈망하는 두 글자는 바로 '성공'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성공의 주인공이 되고 싶어한다.
그러나 그들 중 대부분은 주관 없이 남들이 하는 대로만 따라 하며 실패의 마수로부터 벗어나려 한다.
하지만 실패를 겪지 않고는 성공할 수 없다.
- 앤서니 홉킨스 (Anthony Hopkins)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라.
중요한 것은 적극적으로 자아를 찾아가는 태도와 실패를 반성하는 자세이다.
용기와 지혜를 모아 배수진을 치고 실패를 이겨낸다면
어느새 자신이 성공의 법칙대로 움직이고 있음을 발견할 것이다.
성공의 요인은 외부에 있지 않다.
바로 자신의 능력에 달려 있다.
- 빌 필드 (Bill Field)
사회적 지위로 성공을 판단하지 마라.
자신의 목표를 향해 도전하면서 어떻게 시련을 극복했느냐로 성공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성공은 다른 사람보다 얼마나 일을 잘 해냈느냐가 아니라
자신의 능력에 비해 얼마나 일을 잘했느냐를 보고 결정해야 한다.
성공은 우리가 도달한 위치가 얼마나 높고 대단하느냐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몇 번이고 쓰러져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용기로 평가되어야 한다.
그래서 성공에는 끝이 없다.
- 세실 파킨슨 (Cecil Parkinson)
※ 이 글은 <인생철학 51강>실린 일부 단락을 필사한 것임.
[t-07.09.15. 20210930_164356]
'자기개발(경제.경영.마케팅 > 광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 꿈을 실현시키는 기록의 힘-종이 위의 기적 쓰면 이루어진다 (0) | 2007.09.16 |
---|---|
1강 생각과 행동의 철학 - 생각하라/인생철학 51강 (0) | 2007.09.16 |
보리스 옐친 - 세계 지도자와 술 (0) | 2007.09.03 |
나는 어떤 사람인가?-풍요로운 삶을 꿈꾸는 이들에게/종이 위의 기적 쓰면 이루어진다 (0) | 2007.08.22 |
풍요로운 삶을 꿈꾸는 이들에게- 종이 위의 기적 쓰면 이루어진다 (0) | 2007.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