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삶의 일상에서 쉼의 여유와 흔적을 찾아서
내가만난글/단편글(수필.단편.공모.

정혜옥-강 이야기 사람 이야기/4 크렘스 강을 떠나다

by 탄천사랑 2015. 11. 22.

정혜옥(데레사) 수필집 -  「강 이야기 사람 이야기

 


저만치 크렘스 강이 보인다. 
기차는 곧 강을 건너 다른 곳으로 갈 것이다. 
자리에서 일어선 나는 차창 밖을 향해 손을 흔들었다. 
언덕 위의 수도원과 거기 살고 있는 사람들을 향해 손을 흔들었다. 
강 이쪽과 저쪽에 있는 둥근 수림樹林과 광활한 밀밭에게도 손을 흔들었다.
“ 안녕” 하며 크렘스 강가의 모든 것 들에게 이별의 인사를 하였다.

크렘스 강은 오래 동안 나의 의식 속에서 빛나고 있던 강의 이름이다. 
강의 존재를 최초로 알게 된 것은 먼 지난날, 남편으로 부터 받은 편지에서였다

"큰 가방을 들고 크렘스 강을 건너 수도원으로 갔소.”  이런 글이 편지 속에 쓰여 있었다. 
수도원을 찾아가는 이유도 적혀 있었다. 
수도원장의 배려로 방학 때면 조용한 수도원에서 휴가도 보내고 공부도 할 것이라고 했다. 
그때 알게 된 크렘스 강과 크렘스 뮌스타 수도원, 마음속에 깊이 각인이 되었다. 

그가 건너간 크렘스 강의 모습이며 물빛이 상상되고 그가 들고 간 큰 가방의 무거움이 나의 마음도 무겁게 하였다.

“수도승들이 바치는 새벽 기도 소리에 잠이 깨었소. 
  긴 회랑을 통해 들려오는 기도 소리는 천상의 소리 같소.”

“수도원 대성당에서 미사에 참여하였소. 
  천사들의 조각상이 우리 아이들의 모습처럼 보였소.”이런 편지도 왔었다.

남편이 유학을 떠나던 날. 
그를 태운 비행기는 멀리 멀리 사라지고 곁에는 아이들만 남아있었다. 
기다림의 육년 간, 
나는 산문을 쓰듯이 그에게 편지를 썼다. 

자라는 아이들의 키와 몸, 손과 발, 뛰어가는 힘 같은 것을 그림을 그리듯이 상세하게 적어 보내었다
귀국을 하고, 
다시 객원 교수로 떠나고, 
그때 동행한 나를 그가 제일 먼저 데리고 간 곳이 크렘스 뮌스타 수도원이었다. 
나를 이끌고 가던 그는 매우 의기양양해있었다.

“천이백년된 수도원 봐라.”

“아름다운 크렘스 강을 봐라.”하며 들떠 있었다. 

마치 그리운 고향을 찾아가는 것 같았다. 
그날 나는 처음으로 크렘스 강을 보았고 처음으로 크렘스 강을 건넜다. 
그리고 수도원의 높은 층계를 남편을 따라 올라갔다.

비엔나에서 린츠까지 급행열차로 두 시간, 
린츠에서 여섯 개의 정거장을 지나야 만 마침내 가 닿는 산골 역, 
그곳에 1200년의 역사를 지닌 오래된 수도원 있었다. 

수도원 문간에서 우리를 맞이해 주시던 앵겔 베르트 신부님, 
그리고 오토, 야콥, 안드레아, 알벨토 신부님들, 
남편과 그들은 내가 알아들을 수 없는 독일 말로 재회의 기쁨을 나누었고 
크렘스 뮌스타 수도원과 나와의 인연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그 후 우리는 서양에 올 때마다 크렘스 강을 건너 수도원으로 갔다.
성탄이나 부활 축일, 
혹은 성신 강림의 축제를 보내기 위해, 
아니면 1200주년 기념의 특별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수도원으로 갔었다. 

수도원에 머무는 동안 우리는 산속에 있는 아주 작고 오래된 성당을 찾아가기도 하고 
이 세상 한 가운데 서 있다는 나무를 보러 서쪽 들판을 걸어가기도 하였다. 
지난날에는 그 나무를 향해 달려가듯 빠르게 갔는데 이번에는 느릿느릿 걸어 나무 곁으로 갔다. 
오래된 노목(老木)에 기대어 휴식을 취하였다.

떠나기 전날, 
크렘스 강으로 갔다. 
크렘스 강은 넓고 깊은 강이 아니다. 
강폭은 좁고 강물도 얕았다. 
강가에는 물속에 몸을 드리운 수초가 많았다. 
작은 물고기들이 수초사이를 들락거리고 있었다. 

물을 만져 본다. 
순하고 부드럽다. 
이렇게 작고 순한 강이 왜 그렇게 나를 사로잡고 있었을까. 

큰 가방을 들고 크렘스 강을 건너갔다는 남편의 편지가 왜 그렇게 나를 아프게 하였을까. 
크렘스 강과 크렘스뮌스타 수도원은 남편과 동일체가 되어 나를 손짓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강을 건너온 바람이 물살도 흔들고 나의 옷자락도 흔들어댄다. 
그러다가 수도원 쪽을 향해 몰려간다. 
성벽처럼 견고한 수도원은 1200년의 역사를 지키고 있는 듯 끄떡도 않는다.

남편이 수도원의 어떤 창문을 가리키며 그가 거처했던 방이라고 일러준다. 
깊은 밤까지 켜져 있었을 창문의 불빛, 
불빛 아래 펼쳐져 있었을 두꺼운 책, 
책 속에 함몰되어 있는 남편의 옆모습, 그 시절이 그의 삶의 황금기였을까. 

수도승들의 기도 소리에 잠을 깨던 청아한 아침들, 
그 시간이 영혼이 맑고 향기롭게 피어오르던 때가 아니었을까. 
남편은 지금도 크렘스뮌스타 수도원과의 만남이 축복이었다는 말을 자주 한다.

떠나는 날, 
수도원 문을 나서기 전 아름다운 성당으로 가서 이별의 기도를 드렸다. 
우리 아이들을 닮았다는 천사의 조각상도 다시 바라보았다. 
아이들은 지금 모두 어른이 되어있다. 

수도자들과도 헤어지는 인사를하였다.

“비다 센.(다시 만납시다)”하는 독일말의 인사, 
지난날 우리는 이런 인사를 하며 얼마나 많이 헤어지고 또 많이 만났던가. 
그러나 그 만남이 이제는 불가능한 것임을 서로 잘 알고 있다.

기차에 올랐다. 
세 시간이 지나면 열차는 비엔나의 서부역에 도착할 것이고 우리는 삼 일 후, 
서양을 떠나 한국으로 돌아갈 것이다. 

기차가 크렘스 강을 건널 때 마음이 더욱 쓸쓸했던 것은, 
그리고 크렘스 강의 모든 것들에게 긴 이별의 말을 했던 것은 다시 찾아 올 수 있는 우리의 힘과 시간의 모자람, 
그것을 아프게 자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 이 글은 <강 이야기 사람 이야기>실린 일부 단락을 필사한 것임.



정혜옥 - 강 이야기 사람 이야기 
북랜드  2015. 04. 15.

 

댓글